창원시가 반려동물 친화도시로 거듭나기위해
조직을 재정비하고 동물보호센터와 동물지원센터를 설립하기로 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어떤 준비와 노력을 하는지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를 참고하세요 🙂
창원시, 반려동물 친화도시 조성…동물보호 담당 신설
창원 반려동물 놀이터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시는 반려동물 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관련 조직을 재정비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시 농업기술센터 축산과 동물복지 담당(계장 1명·직원 4명)을 동물복지 담당(계장 1명·직원 2명)과 동물보호 담당(계장 1명·직원 2명)으로 조정했다.
신설한 동물보호 담당은 반려동물 놀이터와 유기동물보호소 관련 사무를 처리한다.
동물복지 담당은 반려동물과 관련한 기타 정책적 업무를 수행한다.
시는 조직 재정비와 더불어 반려동물 관련 인프라 구축 및 각종 정책 이행에도 나선다.
상복동 567번지 일원에 조성된 기존 반려동물 놀이터 옆에 국비 80억원을 들여 2023년까지 동물보호센터와 반려동물 지원센터를 설립한다.
반려동물 지원센터는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공간 등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시는 이들 3개 시설을 아우르는 '펫 빌리지'가 반려동물 친화도시에 걸맞은 인프라로 기능하며 다양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곳곳에서 주민간 갈등이 불거지고 있는 길고양이 돌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업비 4억원을 들여 중성화사업(TNR)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개체 수를 적정선에서 유지하는 등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도심 생태계를 조성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유기견 문제 해결을 위한 동물등록제를 시행할 뿐만 아니라 유기견 입양 시민에게는 입양진료비(12만원)과 펫보험(1년)을 지원해 입양 초기 비용 부담을 완화해주기로 했다.
시는 올해 정부 공모사업으로 추진될 전국 규모 '반려동물 문화축제' 유치에도 도전한다.
김선민 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동물복지 정책은 국제도시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며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반려동물 친화도시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sk@yna.co.kr
김선경(ksk@yna.co.kr)
출처 : 연합뉴스